갓생사는 김초원의 개발 블로그
chocho_log
갓생사는 김초원의 개발 블로그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78)
    • 개발 (23)
      • Spring (4)
      • Java (4)
      • Database (2)
      • Elasticsearch (3)
      • ETC (3)
      • JPA (3)
      • 이슈 (1)
    • 코딩 테스트 (43)
      • 프로그래머스 (23)
      • 백준 (12)
      • TIP (8)
    • 자료구조 (2)
    • 알고리즘 (4)
    • 잡생각 (0)
    • 경험 (5)
      • AWS re:Invent 2024 (5)

블로그 메뉴

    공지사항

    인기 글

    태그

    • Spring Boot Embedded Tomcat
    • war
    • jar
    • querydsl
    • 지연로딩
    • Lazy Loading
    • 디자인패턴 #SOLID 원칙
    • jpa

    최근 댓글

    최근 글

    갓생사는 김초원의 개발 블로그

    chocho_log

    IntelliJ 프로젝트 github에 올리기
    개발/ETC

    IntelliJ 프로젝트 github에 올리기

    2021. 7. 31. 01:07

    <git 원격 저장소 생성>

    1. 자신의 github 계정으로 로그인 하여 접속한다. 

     

     

    2. 오른쪽 상단 프로필 사진 옆에 + 버튼을 클릭하여 "New repository"를 클릭하여 원격 저장소를 먼저 생성한다.

     

    3. 원격 레파지토리 기본 정보들을 설정한다. 

    Repository Name, public/private 여부 등등.. 나는 아래 사진과 같이 설정하였다. 

    이후 "Create Repository" 버튼을 클릭하여 레파지토리를 생성한다. 

     

    4. 레파지토리 생성이 완료되었다. Https 또는 SSH 원격 github 레파지토리 주소를 복사해놓는다. 


    <git 로컬 저장소 생성>

    5. git 원격 저장소에 올릴 IntelliJ 프로젝트를 생성한다. 


    6. 이제 해당 IntelliJ 프로젝트와 원격 저장소를 연결해준다.

     

    git init: 해당 프로젝트를 로컬 저장소로 초기화 한다.

    git remote add origin 깃주소 :원격저장소 remote를 생성하고 Github에서 생성한 repository를 연동한다

    - 이때 깃주소는 아까 복사했던 Https/SSH 주소를 입력한다. 

     

    7. git 원격에 해당 프로젝트 파일을 올린다. 

     

    git add . : 처음에 프로젝트 파일 전체를 올린다. 

    git commit -m "커밋 내용" : 프로젝트의 변경 사항을 커밋한다. 

    git push -u origin master: 로컬에서 변경한 내용을 원격에 푸쉬한다. 

     

    8. 다시 github 사이트에 접속하여 원격 저장소로 가보면 로컬 프로젝트가 올라간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    '개발 > 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[디자인 패턴] SOLID 원칙  (2) 2021.11.18
    curl과 wget  (1) 2021.01.22
      '개발/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  • [디자인 패턴] SOLID 원칙
      • curl과 wget
      갓생사는 김초원의 개발 블로그
      갓생사는 김초원의 개발 블로그
      갓생사는 김초원의 개발 블로그 github: https://github.com/kimchowon

      티스토리툴바